스케일 위에서 음정과 화음 배우기


● 기본 상식1: 음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는 이름들

한 음을 ‘단음(single note)'이라 부른다. 두 음은 ’음정(interval)'이라 부른다. 세 음은 ‘3화음(triad)'이라 부른다. 네 음은 ’7화음(seventh chord)'이라 부른다. 다섯 음은 ‘9화음(ninth chord)'이라 부른다. 그 외에, 꼭 알아야 하는 화음으로 ‘부가화음(add 2th, add 6th 등)’과 ‘계류화음(suspended 4th)’이 있다.

확인: 화음은 최소한 몇 음으로 구성되는가? 화음의 구성에 따른 종류를 나열해보자.


● 기본 상식2: 음정이란 무엇이며 그것들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음정이란 두 음간의 관계를 이야기한다. 즉, 단순히 들리는 소리뿐만 아니라 스케일 위에서의 관계를 의미한다. 음정의 관계성은 도수(degree)로 표시된다.

같은 두 음을 1도라고 한다. 두 음이 완전히 같을 때 ‘완전 1도(perfect 1th)’라고 한다.

한 음에서 온음 위(도-레, .. 라-시)‘장 2도(major 2th)'라고 하며 반음 위(미-파, 시-도)‘단 2도(minor 2th)'라고 한다.

한 음에서 온음 두 개 위의 음(도-레-미, 파-솔-라, 솔-라-시)은 ‘장 3도(major 3th)’라고 하며 온음 하나와 반음 하나 위의 음(레-미-파, 미-파-솔, 라-시-도, 시-도-레)은 ‘단 3도(minor 3th)’라고 한다.

한 음에서 온음 두 개와 반음 하나 위의 음(도-레-미-파, ... 시-도-레-미)을 ‘완전 4도(perfect 4th)’라고 한다.

한 음에서 온음 세 개 위의 음(파-솔-라-시, 도-레-미-파#(m), 레-미-파#-솔#(m))을 ‘증 4도(augmented 4th)’라고 한다.

한 음에서 온음 두 개와 반음 두 개 위의 음(시-도-레-미-파)을 ‘감 5도(diminished 5th)’라고 한다. ‘증 4도’와 ‘감 5도’는 소리에 있어서 동일하나 스케일 상에서의 관계는 판이하게 다르다.

한 음에서 온음 세 개와 반음 하나 위의 음(도-레-미-파-솔, ... 라-시-도-레-미)을 ‘완전 5도(perfect 5th)’라고 한다.

한 음에서 온음 네 개 위의 음(도-레-미-파#-솔#(m))을 ‘증 5도(augmented 5th)’라고 한다.

한 음에서 온음 네 개와 반음 하나 위의 음(도-레-미-파-솔-라, ...)을 ‘장 6도(major 6th)’라고 하고 온음 세 개와 반음 두 개 위(미-파-솔-라-시-도, ...)의 음을 ‘단 6도(minor 6th)’라고 한다.

한 음에서 온음 다섯 개와 반음 하나 위의 음(도-레-미-파-솔-라-시, 라-시-도-레-미-파#-솔#(m), ...)을 ‘장 7도(major 7th)'라고 하고 온음 네 개와 반음 두 개 위의 음(레-미-파-솔-라-시-도, 미-파-솔-라-시-도-레, ...)은 ’단 7도(minor 7th)'라고 한다.

한 음에서 온음 다섯 개와 반음 두 개 위의 음(도-레-미-파-솔-라-시-도, 라-시-도-레-미-파#-솔#-라, ...)을 ‘완전 8도(perfect 8th)'라고 한다. ’완전 8도‘는 다른 말로 ’옥타브(octave)'라고 한다.

9도 이상의 음정은 ‘옥타브’에 더하여지는 음정의 성질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 (장9도, 단10도, ...)


● 기본 상식5: 화음의 도수는 무엇인가?

화음의 도수(scale degree)란 스케일의 기본음을 1도로 하여 계이름을 따라 한 단계(step)씩 증가하여 읽는 화음 읽기 방법이다. 메이저 스케일에서는 ‘도미솔’이 1도화음(으뜸화음)이 되고 마이너 스케일에서는 ‘라도미’가 1도화음(으뜸화음)이 된다. 화음의 도수는 로마자로 표시한다. 화음의 종류에 따라 장화음(major chord)은 대문자로 표시하고 단화음(minor chord)은 소문자로 표시한다. 증화음(augmented chord)은 +를 붙이며 감3화음(diminished chord)은 o을 붙여 표시한다.

확인: 


● 기본 상식6: 화음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가?

모든 화음은 기본적으로 장(major), 단(minor), 증(augmented), 감(diminished), 속7(dominant seventh)의 다섯 가지 종류 안에 속하게 된다. 이 중 가장 기본적이며 많이 쓰이는 세 가지는 장화음, 단화음, 속화음이다. 더욱 완벽한 표현을 위해 감화음과 증화음을 익혀야 한다.

장화음: 장음계(major scale)의 1도(도-미-솔-시-레), 4도(파-라-도-미-솔)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나는 화음.

기본음(root) - 장3도(3rd) - 단3도(5th) - 장3도(7th) - 단3도(9th)

단화음: 자연단음계(minor scale)의 1도(라-도-미-솔-시), 4도(레-파-라-도-미)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나는 화음.

기본음(root) - 단3도(3rd) - 장3도(5th) - 단3도(7th) - 장3도(9th)

증화음: 화성단음계(harmonic minor scale)의 3도(도-미-솔#)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나는 화음.

기본음(root) - 장3도(3rd) - 장3도(5th)

감화음: 화성단음계(harmonic minor scale)의 7도(솔#-시-레-파)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나는 화음.

기본음(root) - 단3도(3rd) - 단3도(5th) - 단3도(7th)

속화음: 장음계(major scale)와 화성단음계(harmonic minor scale)의 5도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나는 화음.

기본음(root) - 장3도(3rd) - 단3도(5th) - 단3도(7th)


root

3rd

5th

7th

 

root

3rd

5th

7th

 

root

3rd

5th

7th

 

도(C)

 

 

 

I

도(Db)

 

 

 

 

도(D)

 

 

 

 

레(D)

 

 

 

ii

레(

 

 

 

 

레(

 

 

 

 

미(E)

 

 

 

iii

미(

 

 

 

 

미(

 

 

 

 

파(F)

 

 

 

IV

파(

 

 

 

 

파(

 

 

 

 

솔(G)

 

 

 

V

솔(

 

 

 

 

솔(

 

 

 

 

라(A)

 

 

 

vi

라(

 

 

 

 

라(

 

 

 

 

시(B)

 

 

 

vii

시(

 

 

 

 

시(

 

 

 

 

root

3rd

5th

7th

 

root

3rd

5th

7th

 

root

3rd

5th

7th

 

도(Eb)

 

 

 

 

도(E)

 

 

 

 

도(F)

 

 

 

 

레(

 

 

 

 

레(

 

 

 

 

레(

 

 

 

 

미(

 

 

 

 

미(

 

 

 

 

미(

 

 

 

 

파(

 

 

 

 

파(

 

 

 

 

파(

 

 

 

 

솔(

 

 

 

 

솔(

 

 

 

 

솔(

 

 

 

 

라(

 

 

 

 

라(

 

 

 

 

라(

 

 

 

 

시(

 

 

 

 

시(

 

 

 

 

시(

 

 

 

 

root

3rd

5th

7th

 

root

3rd

5th

7th

 

root

3rd

5th

7th

 

도(F#)

 

 

 

 

도(G)

 

 

 

 

도(Ab)

 

 

 

 

레(

 

 

 

 

레(

 

 

 

 

레(

 

 

 

 

미(

 

 

 

 

미(

 

 

 

 

미(

 

 

 

 

파(

 

 

 

 

파(

 

 

 

 

파(

 

 

 

 

솔(

 

 

 

 

솔(

 

 

 

 

솔(

 

 

 

 

라(

 

 

 

 

라(

 

 

 

 

라(

 

 

 

 

시(

 

 

 

 

시(

 

 

 

 

시(

 

 

 

 

root

3rd

5th

7th

 

root

3rd

5th

7th

 

root

3rd

5th

7th

 

도(A)

 

 

 

 

도(Bb)

 

 

 

 

도(B)

 

 

 

 

레(

 

 

 

 

레(

 

 

 

 

레(

 

 

 

 

미(

 

 

 

 

미(

 

 

 

 

미(

 

 

 

 

파(

 

 

 

 

파(

 

 

 

 

파(

 

 

 

 

솔(

 

 

 

 

솔(

 

 

 

 

솔(

 

 

 

 

라(

 

 

 

 

라(

 

 

 

 

라(

 

 

 

 

시(

 

 

 

 

시(

 

 

 

 

시(

 

 

 

 


LIST

'음악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윤이상  (0) 2009.07.16
[스크랩] Michael Jackson Died!  (0) 2009.06.27
[스크랩] 교향시 로마의 축제 / 레스피기  (0) 2009.06.23
[스크랩] 시련을 이겨낸 예술인들  (0) 2009.06.15
브라스  (0) 2009.0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