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시니 - 벨칸토(아름답게 노래하기)라 알려진 이탈리아 오페라 양식의 확립에 기여
서정적 멜로디,어렵지 않은 테크닉,화려하고 장식적인 어투(서곡은 콘서트홀에서 연주되는 관현악 레퍼토리 인기작)
회상동기 - 이전에 나온 테마나 동기들을 다시 경청하게 만드는것
그랑오페라 - 황실의 후원이 쇠퇴하면서 여흥을 즐기러 오페라에 온 부유한 중산층 청중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오페라, 대본작가는 발레,음모,합창,군중장면이 나올수 있도록 대본을 씀,귀족을 사악하게 그 반대파는 고결하게 그려냄으로 중산층 청중에 아첨하기도...
서사 오페라 - 개인의 열정이나 감정보다는 한 국가의 이야기가 휠씬 중요한 작품
발레 - 프랑스에서 인기 있었던 다른 음악극.
징슈필 - 독일오페라의 뿌리
독일 낭만 오페라
육체적,자연적이면 정신적인 배겨을 강조하는 것
민요풍의 선율 뚜렷한 독일적 요소,반음계적 화성 두드러지고,극적인 표현을 위해 관현악 사용,선율을 강조한는 이탈리아 오페라 대비 내면의 목소리 강조
민트럴지 - 1830에서70년대 까지 가장 대중적인 미국의 음악극
백인연주가 코르크로 얼굴을 검게 하고 나와 농담,풍자 ,노래 춤등을 보여주는 것
에티오피아 오페라 - 풍자적인 촌극 사이사이에 노래를 집어넣고 막각 혹은 막후에 연주하는 형태
베리스모 - 문학에서의 사실주의에 대응하는 오페라적 형태
푸치니 - 베르디이후 가장 성공적인 이탈리아 작곡가, 베르디가 집중했던 성악선율을 바그너의 무한선율 또는 유도동기작법과 융합시켜 자신만의 고유한 개성적 양식 확립
음악적 연속성을 위해 오케스트라에 더 큰 비중을 둠
바그너 - 총체예술 작품 시,장면,무대,연기, 음악이 함께 어우러져 하나의 총체적인 혹은 종합적인 예술작품을 만들어 내다. 반유대주의
유도동기 - 주제가 처음나오거나 언급된후 나중에 반복적으로 출현하거나 인용됨으로써 그에 관한 연사을 하는 것 - 작품의 기본적인 음악적인 재료라는 것이 회상동기와 차이
서정오페라 -오페라 코미크의 낭만적 형태.코미크와 그랑오페라의 중간쯤(구노의 로미오와.
이국주의 - 카르맨 스페인이긴 하지만 파리인들에게는 스페인도 이국적으로 느낌
카바레 - 진지하거나 코믹한 촌극,춤,노래,시가 모두 공연된 장소
카페 - 콘서트는 카페에서 음식과 차가 제공될때 음악적 여흥이 함께 주어짐
일상적 주제로 결합된 쇼나 레뷰등 다양한 여흥이 제공
러시아의 두흐름 - 민족주의와 세계주의
막강한 소수 - 발라키레프,쿠이,보르딘,무소르크스키,림스키-코스사코프
코르사코프 - 온음음계(옥타브를 세 개의 장3도로 나누는 것)두 개의 증3화음이 구성
8음음계 - (옥타브를 4개의 단3도로 나누는 것)두개의 감7화음을 포함
음악적 단층선 =- 옛 음악과 새음악,옛음악 양식과 새음악양식,절대음악과 표제음악,민족주의적 요소와 세계주의적요소 고전음악과 대중음악 모두 이분법적인 음악적 지형의 단층선
브람스
바리올라쥬 - 개방현과 손가락으로 누른 옆의 현을 재빠르게 교대로 연주함으로써 얻어지는 음색적인 대조효과
발전한는 변주 - 작품 전체에 두드러진 기본 아이디어을 연속적으로 쌓아가는 작곡 방식
바그너
신독일 악파
리스트 - 교향시,테마변형(표제적 주제를 그려내는데 상이한 분위기를 담아내도록 테마재료를 변형시키는 것)
세자르프랑크 -전통적인 대위법과 고전형식을 리스트의 테마 변형 작법 ,바그너의 화성,테마재현을 순환적 통일성이라는 낭만주의적 이념과 융합시켜 자신만의 개성적인 스타일로 확립
미국 - 인종적 다양성때문 민족의 정체성 문제가 복잡하게 나타남
행진곡 형식
march-trio-march
반복없는 행진곡 형식
march - trio,break strain,trio
아프리카 미국음악
메기과 받는 형식,당김음,즉흥연주,짧은 리듬혹은 선율패턴의 반복
악보형태로 처음나온 곡 go down m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