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은 하이든과 모짜르트가  이룩한 고전주의 교향악에 바탕을 두어...

교향곡 1번을 작곡하고  이어서 그의 한 평생의 불굴의 의지와 신념으로

음악사에서 기록할 만한 9개의 휼륭한 교향곡을 작곡하였습니다...

 

음악 평론가들에 의하면 그의 교향곡중 3,5,7,9,를 주요 교향곡으로...

짝수중 6번 "전원" 을  들어야 할 교향곡으로 치지만...

그의 9개의 명 교향곡의 바탕이 된 교향곡 1번을 올려드립니다...

비록 하이든이나 모짜르트의 교향악처럼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나름대로의 베토벤의 고유의 정신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교향곡 1번은 베토벤 30세인 1800년 4월 2일

빈의 부르크 극장에서 초연했던 첫 교향곡입니다.

베토벤은 그 당시 많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작곡가겸 유명 피아니스트로

이름을 날리던 시기였습니다.

 

교향곡의 작곡자로서 늦은 감이 있지만 신중한 태도와 독자적인 곡을 만들려는

마음에 비로서 30세에 교향곡을 작곡하였습니다.

슈베르트는 31세에 죽기 1년전에 9개의 교향곡을 작곡했지만 (발표는 아니고)...슈베르트의 작품은

그 당시 연주되지 못하고 사후 10 여년 지나 슈베르트를 존경하는 슈만에 의해 알려진 것이 많습니다...

초원

 

 

베토벤과 교향곡

교향곡과 베토벤은 서로 떼어서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습니다.

그의 전 작품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모든 교향곡들 가운데

거봉(巨峰)과도 같이 우뚝 솟아 있는 이 9개의 교향곡은 그의 철학과 사상이 들어 있는,

그의 음악의 진수이며 금자탑으로 후세의 작곡가들 뿐 아니라 온 인류에게 끼친 영향은

참으로 지대한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교향곡 제1번 C장조 Op.21

베토벤의 교향곡은 1799년 그가 29세때에 작곡된 제1번 교향곡으로부터 창조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이 첫번 교향곡을 슈뷔텐남작에게 헌정하였는데 그의 아버지가 마리아 테레사 여제(女帝)의

시의였던 관계로 슈뷔텐남작은 궁정 도서관장으로 재직히면서 18세기 음악에 열광하고 있었고

특히 바하와 헨델에 심취하여 있었으므로 그의 저택에서는 언제나 음악회가 그치지 않았고,

유능한 음악가들에 대한 후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모짜르트와 하이든이 그에게 많은 후원을 받은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고

젊은 베토벤도 그의 음악회에 초대되어 바하, 헨델, 모짜르트, 하이든의 음악에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었습니다.

 

제1교향곡의 관현악법은 대체로 모짜르트의 후기 교향곡과 비슷하지만

관악이 훨씬 보강되고 있습니다.

처음의 느린 도입부는 하이든이나 프랑스 서곡에 이미 나타난 것으로 베토벤은 그의 제2, 제4 및

제7 교향곡에서도 역시 이러한 수법을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이 12마디가 별로 대수롭게 들리지 않겠지만 7도화음으로 시작되는

그 첫 부분은 그 당시로서는 커다란 충격을 안겨 주었습니다.

이와 유사한 불협회음은 하이든의 현악 4중주, 베토벤의 스승이었던 네에페의 가곡,

그리고 바하의 칸타타에서도 나타난 적이 있었지만 베토벤의 그것과 같이 강렬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이렇게 불협화음으로 개시되는 서주는 제9교향곡에서도 엿볼 수 있는데,

이것은 조성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특히 낭만주의 음악가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었습니다.

 

처음 교향곡 1번 2번은 모짜르트나 하이든 처럼 길지 않는 곡이었지만...

교향곡 3번 부터는 선배들의 영향을 탈피한 베토벤의 독자적인 곡으로

인간의 해방을 부르짖던 자유의 정신에 불타는 강한 개성의 힘과 균형을 느낄 수 있습니다..초원.

마지막 곡 교향곡 3번 Eroica(英雄) 중 제 1악장입니다.

 

제1악장 Adagio molto allegro con brio

빠른 템포로 들어가는소나타 형식이다.하이든과 모짜르트의 맛이 풍기지만 베토벤의 독특한 조바꿈의 묘미들을 느낄 수 있는 형식상의 새로운 면모를 느낄 수 있다.

 

제2악장 Andante cantabile con moto


제2악장은 제1주제를 푸가처럼 발전시킨다. 이 주제는 3화음에 바탕을 두면서 춤음악적인 움직임을 거치는데, 이를 통해 제1악장과 제3악장과의 관련성을 고집하고 있다.

 


제3악장 Menuetto. Allegro molto e vivace


제3악장은 당시의 다른 소나타에서처럼 미뉴에트라는 제목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미뉴에트 전통을 그대로 따르기보다 베토벤의 독자적 처방이 벌써 들어있어 이후 그의 소나타 계통의 작품에서 미뉴에트 대신 쓰일 스케르쪼를 예감한다.

 


제4악장 Adagio, Allegro molto e vivace

제4악장은 제1, 2악장처럼 소나타악장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제1악장에서처럼 느린 도입부(아디지오)를 가지고 있다. 제4악장의 도입부에서 베토벤은 제1악장의 머리 모티브를 여러 번 반복하면서 곡 전체의 연결감을 이끌고, 이 모티브를 리듬적으로 변형시켜서 빠른 템포(알레그로 몰토 비바체)의 제4악장의 제1주제를 도입한다. 베토벤은 이렇게 제1교향곡에서부터 주제-모티브 작업을 통해 제1악장부터 제4악장까지를 서로 연결시켜 일종의 내부적 순환체계를 만드는 일을 실험하고 있다.

 

 

출처 : 색소폰
글쓴이 : 최인수 원글보기
메모 :
LIST

+ Recent posts